본문 바로가기
개인금융

지니계수와 로렌츠 곡선 쉽게 풀어보기

by 오와리(OWARI) 2023. 9. 20.

지니계수, 로렌츠 곡선, 빈부격차가 크고 작은 나라들의 특징

 

빈부격차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사회적 문제 중 하나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빈부격차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어떤 지수를 참고해야 하는지, 잘 사는 나라와 못 사는 나라의 특징은 무엇인지, 그리고 인구의 변화와 복지의 수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빈부격차가 어떻게 사회와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통찰을 얻을 것입니다.

 

 

1. 빈부격차 지수: 지니계수

빈부격차를 측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지수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 중 하나는 Gini 계수입니다. Gini 계수는 소득 또는 부의 분포를 나타내는 지표로, 0부터 1까지의 값을 가집니다. 0에 가까울수록 소득이 고르게 분배되었음을 나타내며,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한 분배를 나타냅니다.

 

지니계수 생성과정: 쉽게 풀어보기
지니 계수를 구하는 공식은 다소 복잡할 수 있지만, 아래와 같이 간단한 예제와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알려드리겠습니다.

단계 1: 데이터 수집
데이터 수집을 위해 여러 친구들의 매주 받는 용돈을 조사합니다. 예를 들어, 다섯 명의 친구의 주간 용돈이 각각 5,000원, 3,000원, 7,000원, 2,000원, 6,000원이라고 가정합시다.


단계 2: 데이터 정렬 친구들의 주간 용돈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기.
정렬하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2,000원, 3,000원, 5,000원, 6,000원, 7,000원.


단계 3: 누적 상대 빈도 계산
각 친구의 주간 용돈을 누적해보겠습니다. 첫 번째 친구의 용돈은 2,000원이므로 누적 상대 빈도는 2,000원입니다. 두 번째 친구의 용돈을 더하면 5,000원, 세 번째 친구를 더하면 10,000원, 네 번째 친구를 더하면 16,000원, 다섯 번째 친구를 더하면 23,000원이 됩니다.

단계 4: 지니 곡선 그리기
이제 누적 상대 빈도를 가지고 지니 곡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지니 곡선은 x축에 누적 상대 빈도(S), y축에 누적 상대 빈도(S)에 해당하는 주간 용돈을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각각의 점을 연결하면 곡선이 그려집니다.


단계 5: 지니 계수 계산
로렌츠 곡선을 통해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 계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지니 계수는 45도 라인과 곡선 사이 영역의 넓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를 간단하게 계산하기 위해 로렌츠 곡선과 대각선(45도 기울기 직선) 사이의 면적을 구합니다. 면적을 구한 후,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지니 계수를 계산합니다


로렌츠 곡선과 대각선 사이의 면적 구하기
지니계수 = A/A+B
위의 공식을 이용하여 A 영역인 지니계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 A영역이 바로 불평등 영역입니다.
참고로 A가 없다면 완전 평등하다는 것이고 B가 없다면 완전 불평등인 상태를 나타냅니다. 
* 지니 계수 = (2 * 면적)

예를 들어, 위의 데이터로 계산한 결과, 지니 곡선과 대각선 사이의 면적이 0.3이라고 가정하면, 지니 계수는 0.6이 됩니다. 지니 계수는 일반적으로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0에 가까울수록 불평등이 적고,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지니 계수 = (2 * 면적) 왜 2를 곱하는지 궁금하시면 아래 사이트 참고바랍니다. 

 

지니계수 적분 공식 질문

지니계수 적분 공식에서 2는 왜 곱하는 건가요?

kin.naver.com

 

지니계수와-로렌츠-곡선
지니계수와 로렌츠 곡선

 

2. 빈부격차 지수: 로렌츠 곡선

로렌츠 곡선(Lorenz curve)은 소득 또는 재산 분포의 불평등 정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로렌츠 곡선은 경제학에서 주로 사용되며, 지니 계수(Gini coefficient)와 함께 불평등을 측정하는 도구 중 하나입니다.

 

로렌츠 곡선 생성과정: 쉽게 풀어보기
단계 1: 데이터 수집
친구 다섯 명의 주간 용돈을 수집해봅시다.
이 예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간 용돈을 가정합니다: 1,000원, 2,000원, 3,000원, 4,000원, 5,000원.

단계 2: 데이터 정리 주간
용돈을 작은 숫자부터 큰 숫자로 정렬합니다: 1,000원, 2,000원, 3,000원, 4,000원, 5,000원.

단계 3: 누적 상대 빈도 계산
이제 각 친구의 주간 용돈을 더해가며 누적 상대 빈도를 계산합니다. 다음과 같이 누적 상대 빈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친구: 1,000원
두 번째 친구: 1,000원 + 2,000원 = 3,000원
세 번째 친구: 3,000원 + 3,000원 = 6,000원
네 번째 친구: 6,000원 + 4,000원 = 10,000원
다섯 번째 친구: 10,000원 + 5,000원 = 15,000원

단계 4: 로렌츠 곡선 그리기
이제 그래프를 그릴 준비가 되었습니다. 가로축에는 누적 상대 빈도(S), 세로축에는 누적 상대 빈도(S)에 해당하는 주간 용돈을 표시합니다. 이렇게 그린 그래프를 바탕으로 로렌츠 곡선을 그립니다.

로렌츠 곡선 해석
로렌츠 곡선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만약 모든 친구들이 정확히 같은 주간 용돈을 받았다면, 로렌츠 곡선은 대각선과 일치할 것입니다. 즉, 누구나 똑같은 돈을 받았으므로 아무도 불평등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만약 로렌츠 곡선이 대각선 아래에 위치한다면, 불평등이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즉, 일부 친구들이 더 많은 용돈을 받았고, 다른 친구들은 적은 용돈을 받았다는 뜻입니다.

이제 로렌츠 곡선을 통해 우리는 불평등 정도를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겁니다.

 

 

3. 빈부격차가 낮은 나라의 특징

빈부격차가 낮은 국가는 일반적으로 특정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가들은 높은 사회복지와 교육 기회를 제공하며, 고용 기회를 균등하게 배분합니다. 또한, 국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며, 기본적인 인권을 존중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4. 빈부격차가 높은 나라의 특징

반면에 빈부격차가 높은 국가는 사회적 불평등이 크게 나타납니다. 이러한 국가들은 경제적으로 뒤쳐지며, 교육과 건강 서비스에 접근하기 어려운 사람들이 많습니다. 또한, 사회적 불안정과 범죄율이 높을 수 있습니다.

 

5. 인구의 변화

빈부격차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경제 성장과 교육 기회 확대는 빈부격차를 줄일 수 있으며, 정부 정책의 영향도 큽니다. 또한, 인구의 구성이 변화함에 따라 빈부격차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령화된 인구 구성은 사회적 도전 과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6. 복지의 수준

복지는 빈부격차를 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잘 구축된 복지 시스템은 사회적 안전망을 제공하고, 경제적 압박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합니다. 더 나아가서, 교육, 건강, 고용 분야에서의 복지는 개인의 기회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최신 대한민국 지니계수 확인

 

7. 마치며

빈부격차는 사회적 안정과 공정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빈부격차를 측정하는 지수, 잘 사는 나라와 못 사는 나라의 특징, 인구의 변화, 그리고 복지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빈부격차를 줄이고 사회적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와 시민들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더 공평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

 

8. 질문(Q&A)

Q1: 빈부격차가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A1:빈부격차는 사회의 안정성을 저해하고, 경제적 불평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Q2: 지니 계수 외에도 다른 빈부격차 지수가 있나요?

A2: 네, 다른 지수로는 HDI (Human Development Index)와 Palma Ratio 등이 있습니다.

 

Q3: 어떻게 빈부격차를 줄일 수 있을까요?

A3: 빈부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교육 기회 확대, 사회복지 강화, 고용 기회 제공 등의 정책이 필요합니다.